[시나리오 확장하기 4] 스케줄링 시나리오

Toggle ON _ OFF — 시나리오 실행 활성화

시나리오 스케줄링이란?

시나리오를 자동으로 실행할 ‘시간’과 ‘빈도’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.


가능한 실행 방식들

실행 방식설명
At regular intervals일정 간격마다 (예: 15 / 30 / 45분마다)
Once특정 날짜/시간에 한 번만 실행
Every day매일 같은 시간에 자동 실행
Days of the week특정 요일(예: 매주 월/수/금)에 실행
Days of the month매달 특정 날짜에 실행 (예: 매달 1일)
Specified dates / time지정된 날짜와 시간에만 실행
Immediately데이터가 도착하자마자 바로 실행
On demand직접 ‘Run once’ 버튼 클릭 또는 API 호출로 실행


시나리오 실행주기

시나리오를 얼마나 자주 실행해야 할까요?

👉 시나리오의 트리거 타입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Polling Trigger (폴링 트리거)

  •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확인하고 실행됨
  • 예시 상황:
    • 구글 폼 응답 수집
    • 특정 폴더의 파일 정리
    • 데이터베이스 주기적 확인
    • 매일 오전 9시 날씨 데이터를 Google Sheets에 저장 (Polling)
  • 권장 주기:
    • 1시간마다 (짧은 주기: 폼 응답 등 실시간성이 높은 업무)
    • 주 1회 (긴 주기: 예, 구글 드라이브 정리)


Instant Trigger (인스턴트 트리거)

  • 데이터가 도착하는 즉시 실행됨 (시간 예약 필요 없음)
  • 웹훅(Webhook) 기반
  • 예시 상황:
    • 새로운 주문 발생 시 즉시 처리
    • 폼 제출 시 실시간 전송
    • 슬랙 메시지 수신 시 자동 반응
    • 고객 설문 제출 시 자동 이메일 전송 (Instant)

Operations Count란?

Operation은 Make에서 시나리오가 실행될 때 각 모듈마다 1번씩 차감되는 사용량 단위예요.

👉 매 시나리오 실행마다 Operations가 소모됩니다.

연산 수(Operation Count) 주의사항

  • 시나리오에 포함된 **모듈의 개수만큼 연산(Operation)**이 발생합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날씨 모듈(1연산) + Google Sheets에 기록(1연산) → 총 2연산
  • 하지만 필터 조건에 따라 한쪽 경로만 실행될 경우, 1개의 연산만 소비될 수도 있습니다.


예시 시나리오 기준

  • Weather 모듈: 현재 날씨 가져오기 → 1 operation
  • Google Sheets 모듈: 새 행 추가 → 1 operation

2 operations 사용


실행 주기별 소모량 계산

예를 들어, 시나리오를 15분마다 실행한다고 하면:

  • 1시간 = 4번 실행 → 4 x 2 operations = 8 operations/hour
  • 하루 (24시간) = 8 x 24 = 192 operations/day
  • 일주일 (7일) = 192 x 7 = 1,344 operations/week


운영 꿀팁

실행 주기예상 사용량 (주간)적합한 경우
매 15분약 1,344회실시간 데이터 중요할 때
매 1시간약 336회데이터 변동이 적을 때
하루 1회약 14회정기 보고서, 드라이브 정리 등


주의사항
  • 무료 요금제는 월 1,000 operations 제한이 있으므로 너무 자주 실행하면 빠르게 한도를 초과할 수 있어요!
  • 효율적인 실행 주기를 고민해보고 필요에 따라 Router + Filter로 조건별 분기처리하여 최소화할 수 있어요.

“Run once”로 테스트 먼저 하기

왜 먼저 테스트해야 할까요?

시나리오를 예약 실행하기 전에 가장 중요한 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거예요.

  • 에러 없이 실행되는지
  • 데이터가 올바른 위치로 전달되는지
  • 모든 모듈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


어떻게 테스트하나요?

  1. Make 시나리오 화면에서 상단의 ▶ Run once 버튼 클릭
  2. 데이터 흐름을 따라가면서 정상적인 실행 여부를 확인

테스트 후 다음 단계는?

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제 예약 실행(Scheduling)을 설정할 수 있어요.

→ 예: 15분마다 실행, 매일 실행 등

실행 주기 설정하기

설정 방법

  1. 좌측 하단에서 ⚙ Scheduling을 클릭하면 예약 설정 창이 열려요.
  2. 기본 설정은 “At regular intervals” (정기 실행) 으로 되어 있어요.
  3. 아래처럼 설정하세요:
    • 실행 주기: Every day (매일)
    • 시간 설정: “15:00”
    • 완료 후: OK 클릭

참고사항

  • 이 설정대로라면 시나리오가 하루에 한 번, 오후 3시에 실행돼요.
  • 주 7일 × 1~3개의 오퍼레이션(날씨 + 구글시트) = 👉 총 7~21 operations/week가 소모돼요.
    • 참고 : 라우터와 구글시트 사이의 적용한 조에 따라 operation 소비가 정해져요.

Toggle ON / OFF — 시나리오 실행 활성화

설정 방법

  1. 시나리오 편집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 Scheduling 토글을 OFF → ON으로 바꿔주세요.
  2. 버튼이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ON 상태가 되면 시나리오가 설정된 시간마다 자동 실행되기 시작합니다.

추가 팁
  • 시나리오 목록(대시보드)에서도 쉽게 ON/OFF를 전환할 수 있어요.
  • 예: 시나리오 이름 옆에 있는 작은 스위치 버튼으로도 제어 가능해요.
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